로스만은 지역사회조직을 한 가지 형태로 보지 않고 세 가지의 모형 즉 지역사회개발 모형, 지역사회계획 모형, 지역사회행동 모형으로 구분하였다. 다시 로스만은 이 세 가지 모형을 제시한 다음 12개의 실천변수(목표, 지역사회의 문제상황에 대한 가정, 기본적 변화 전략, 변화 전술적 기법, 실천가의 역할, 변화의 매개체, 권력주도에 대한 견해, 수혜자의 범위 규정, 지역사회의 이해관계나 하위체계에 대한 가정, 수혜집단에 대한 인식, 수혜집단의 역할에 대한 인식, 임파워먼트 개념에 대한 인식)를 기준으로 이 유형들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지역사회 개발모델 (Local/community development)
지역사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민들이 가능한 한 최대의 주도권을 갖고 전 지역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 과정으로 민주적인 절차, 자발적인 협동, 토착적인 지도자의 개발, 교육 등이 강조된다. 지역사회 내에 입장 차이는 협상과 합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주로 과정중심의 목표를 설정하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1. 지역사회 개발모델 (Local/community development)
2. 사회계획/정책모델 (Social planning/policy)
3. 사회행동모델 (Social action)
https://www.happycampus.com/report-doc/26084972/
위의 링크 저작권 또한 저에게 있습니다.
'스터디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2급 후기 :: 50대의 도전기_2_과제, 시험, 보고서, 실습 (0) | 2022.05.21 |
---|---|
탈시설화, 탈의료화 및 정상화의 개념, 비판, 정상화 실현 저해의 예, 자신의 생각, 뉴스기사, 경험 정리 (0) | 2021.06.01 |
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을 바탕으로 현재까지의 삶과 앞으로의 삶에 대하여 -에릭슨 이론의 기본가정 및 주요개념 그리고 8가지 발달단계를 기본으로- (0) | 2021.06.01 |
데이트폭력에 대해 설명하고, 데이트 폭력 예방, 피해자 보호방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논하시오. (0) | 2021.06.01 |
사회복지조직 재정관리의 특성과 재원, 재원확보를 위한 전략 (0) | 2021.06.01 |